728x90
1. 돈자체는 가치가 없다.
ㄴ돈에 의해 서로 돕는 사회가 실현된 것
2. 돈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없다.
ㄴ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'돈' 자체가 아니라 돈을 받는 사람들
3. 다 함께 돈을 모아도 의미가 없다. (예금과 노후자금)
ㄴ생산 효율을 높여야한다.
소비와 투자의 흐름에 따라 미래가 창조된다.
나의 생각:
고령화와 저출산은 고도화 된 사회의 숙명, 우리에게 더 필요한 것은 돈이 아니라 생산 효율이다.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선 AI와 휴머노이드기술이 필요하다. AI가 제대로 진화하려면 양자컴퓨터가 필요하고, 양자컴퓨터가 대중화되면 기존의 보안시스템은 뚫리기에 양자보안을 우선적으로 연구할 수 밖에 없다.
인간의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해선 자원이 필수요소이지만, 지구의 자원은 한정적이다. 그래서 우주개발을 해야한다.
우리의 미래: AI, 양자, 휴머노이드, 우주
반응형
'끄적끄적 > 독후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4.11.08] 서른, 정치를 공부할 시간 (1) | 2024.11.08 |
---|---|
[24.10.31] 숫자가 없는 경제학-차현진 (2) | 2024.10.31 |
[24.10.11] GEN Z :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 (0) | 2024.10.11 |
[24.10.07] 역노화 (1) | 2024.10.07 |
[24.09.24] 아마존 뱅크가 온다 (1) | 2024.09.24 |
댓글